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우수한 지역으로서 이를 보전하고 교육, 관광, 사업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환경부장관이 인증한 공원으로 기존 공원들과는 달리 지역주민의 행위 제한을 최소화하고 혜택은 극대화하면서 자연의 보호와 이용을 조화시킨 새로운 형태의 공원입니다.
우리나라는 2011년 자연공원법이 개정되면서 우수한 지질유산 자원을 보전하고 교육 및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국민의 휴양과 정서함양에 기여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를 목적으로 지질공원이 도입되어 지금 현재 제주도, 울릉도/독도, 부산, 강원도, 청송, 광주무등산, 경기한탄/임진강, 강원고생대 등 총 8개의 공원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부산국가지질공원)
부산국가지질공원은 2013년 12월 내륙으로는 처음으로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을 받았으며 총 12개 지질명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강과 바다가 어울린 천연의 모래섬 "낙동강 하구"
낙동강이 남해바다와 만나 만들더진 현생 삼각주로 모래들이 쌓여 만들어진 사주, 사구, 석호 등 아름다운 지형의 모습이 압권이며 습지와 철새도래지 에서는 다양한 동식묵들을 볼 수 있는 곳이다.
두 번째, 고대 박물관으로 가는 바닷길 "몰운대"
약 8천만년 전 백악기 말에 쌓인 하부다대포층과 그 후 부산지역 지각의 변형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명소입니다
세 번째. 공룡의 낙원을 뒤흔든 지진 "두송반도"
공룡의 전성시대였던 백악기 말의 부산지역고환경과 지사를 한눈에 보여주는 으뜸명소입니다.
네 번째, 불의 신이 사는 호수 "송도반도" 와 다 섯번째 "두도"
약 8천만년 전 백악기 말에 쌓인 하부다대포층과 그 후 부산지역 지각의 변형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공룡골격과 공룡알 둥지화석등을 관찰 할 수 있는 명소입니다.
여 섯번째, 호수에서 태어나 바다와 맛선 바위들 "태종대"
백악기말에 호수에서 쌓인 퇴적층이 해수면 상승으로 파도에 의해 침식되어 만들어진 파식대지, 해식애, 해안동굴 등의 암벽해안으로 유명한 부산을 대표하는 최고의 해안 경관지입니다.
(부산국가지질공원)
일 곱번째, 바다를 향한 불의 신 "오륙도"
각 섬마다 가파른 해안절벽과 파도의 침식에 의한 파식대, 각양각색의 해식동굴 등의 지형과 오랜 세월동안 사람의 간섭없이 자라난 동식물들, 그리고 짙푸른 바다가 한데 어루러져 멋진 장관을 이루고 있는 곳입니다.
여 덞번째, 바다를 향한 불의 신 "이기대"
약 8천만 년 전 격렬했던 안산암질 화산활동으로 분출된 용암과 화산재, 화쇄류가 쌓여 만들어진 다양한 화산암 및 퇴적암 지층들이 파도의 침식으로 발달된 해식애, 파식대지, 해식동굴과 함께 천혜의 절경을 이루고 있는 곳입니다.
아홉 번째, 불타는 대지 "장산"
약 7천만 년 전 격렬했던 유문암질 화산활동으로 분출된 화산재, 용암, 화쇄류로 이루어진 산으로 구과상유문암, 유문암질 응회암, 반상유문암 등의 다양한 화산암들과 장산폭포, 돌서렁, 인셀베르그 등의 웅장한 지형을 볼 수 있는 명소 입니다.
열 번째, 산화가 잠든 바위산 "금정산"
약 7천만 년 전 지하에서 마그마가 식어서 생성된 화강암이 융기하여 형성된 부산 땅의 뿌리를 이루는 산입니다.
열 한번째. 마그마가 빚어낸 천연의 공예품 "구상반려암"
황령산 일대의 구상반려암은 약 6천만 년 전 지하 깊은 곳에서 마그마가 서서히 굳어 만들어진 암석으로 암석의 표면에서는 가운데 핵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형을 그리며 광물들이 배열된 구상조직을 잘 보여 주고있습니다. 또한 반려암은 우리나라에서 분포가 매우 적은 희귀암이며, 구상반려암은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희귀한 암석 입니다.
열 두번째, 다양한 암석들의 하모니 "백양산"
약 8천만 년 전 격렬했던 화산활동으로 분출된 물질이 쌓여 만들어진 다양한 화산쇄설암, 화산활동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을 때 호수에서 퇴적된 퇴적암, 그리고 지하에서 이들을 관입한 화강암까지 부산의 지질 변천사를 보여주는 곳입니다.
(부산국가지질공원)
부산시의 자랑스러운 12개 지질 명소를 알아 보았구요. 부산시에서는 이들 지질명소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받기 위해 6월 환경부에 후보지 신청서를 제출하고, 내년에는 유네스코에 신청서를 낼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세계지질공원 최종 인증 여부는 2021년 현장실사를 거쳐 2022년에 결정 된다고 하니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받기 위해 남은 기간 동안 부산 시민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가 필요할 때입니다.
(부산국가지질공원)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 받으면 좋은점은 무엇일까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을 받으면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전 세계에 인정받는 것으로 세계적 관광자원으로 활용 할 수 있어 지역 경제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부산국가지질공원)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 받기 위한 노력?
부산시 및 부산국가지질공원에서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을 받기 위해 지질교육.관광 프로그램을 상시 운영하고 있으며, 양질의 지질공원 해설사 모집 및 양성, 부산 국가지질공원과 주요관광자원의 통합관리, 지질공원 캐릭터 개발, 지질공원 관계자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부산국가지질공원)
또한 오는 2024년 8월 25일부터 31일까지 7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세계지질과학총회(IGC 2024)를 개최한다고 하는데요. 120개국 1만여 명의 지질전문가 등이 참석한다고 하니 준비를 철저히 해서 성공적으로 마무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부산국가지질공원)
부산시에서는 세계지질과학총회를 유치해 참석하는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부산의 국가지질공원을 홍보하고, 나아가 세계지질공원 선정을 위한 발판을 마련 할 기회로 삼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등재를 위해 노력한다고 하니 부산 시민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가 필요해 보입니다.
'상수의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7월 행사 및 축제 (0) | 2019.07.10 |
---|---|
한국 축구스타 손흥민 몸값 및 연봉 (0) | 2019.06.14 |
부산 6월 행사 및 축제 (0) | 2019.06.03 |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브랜드 TOP 10 (0) | 2019.05.24 |
부산 국가지질공원 낙동강하구 에코센터 (0) | 2019.05.20 |